네, 스팀 오프라인 모드가 핵심이죠.
이걸 쓰면 게임 실행할 때마다 굳이 스팀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고 바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 게임으로 길게 시리즈를 찍거나, 특정 모드 세팅으로 플레이 중인데 업데이트가 그걸 망가뜨릴까 봐 걱정될 때 엄청 유용해요.
오프라인 모드로 해두면 게임 버전이나 상태가 딱 고정되니까 변수 없이 안정적으로 플레이나 녹화를 이어갈 수 있죠.
다만, 주의할 점은 이 오프라인 모드를 제대로 쓰려면 해당 게임을 스팀에서 온라인 상태로 한 번 이상 실행해서 스팀이 게임 파일이나 라이선스를 확인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는 겁니다.
한 번 확인되고 나면 다음부턴 인터넷 연결 없이도 문제없이 즐길 수 있어요.
게임 업데이트를 어떻게 확인하나요?
게임 업데이트 확인 말이죠? 이게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최신 패치에는 게임 버그 수정, 성능 개선, 신규 콘텐츠 추가 등 핵심적인 변화가 담겨 있거든요. 제대로 즐기려면 최신 버전 유지는 필수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를 통해 설치한 게임이나 앱이라면, 가장 기본적인 확인 경로는 스토어 앱 자체입니다. 스토어를 열고 보통 ‘라이브러리’ 메뉴나 비슷한 곳에 있는 ‘업데이트 받기’ 버튼을 누르면 스토어에 등록된 항목들의 업데이트를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PC 게임의 경우 스팀(Steam), 에픽게임즈 스토어(Epic Games Store), EA 앱(EA app), 유비소프트 커넥트(Ubisoft Connect), 배틀넷(Battle.net) 등 각 퍼블리셔나 플랫폼의 자체 런처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이런 게임들은 대부분 런처 실행 시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확인하고 다운로드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만약 자동 업데이트가 의심되거나 특정 게임의 업데이트를 강제로 확인하고 싶다면, 해당 게임 런처에서 게임 목록을 우클릭하거나 설정 메뉴에 들어가 ‘업데이트 확인’ 같은 옵션을 찾아보세요.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 있더라도 일부 게임은 스토어가 아닌 게임 자체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를 관리하기도 하니, 게임 실행 전 클라이언트 메시지를 확인하는 습관도 중요합니다.
게임 업데이트는 어디서 해요?
좋아하는 게임의 최신 버전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새로운 콘텐츠, 버그 수정, 성능 개선 등은 업데이트를 통해 이루어지니까요. Android 기기에서는 Google Play 스토어가 그 중심입니다.
우선, Google Play 스토어 앱을 실행하세요. 게임 관리의 시작점입니다.
앱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여러분의 프로필 아이콘을 탭합니다.
드롭다운 메뉴에서 ‘앱 및 기기 관리‘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현재 기기에 설치된 앱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사용 가능’ 항목을 찾아보세요. 여기에 업데이트 대기 중인 게임 목록이 표시됩니다. ‘자세히 보기’를 누르면 전체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중요한 패치나 기대했던 이벤트 업데이트는 여기서 수동으로 즉시 진행할 수 있죠.
목록에서 업데이트하고 싶은 게임 옆의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업데이트 용량을 미리 확인하고, 데이터 소모 및 안정성을 위해 Wi-Fi 환경에서 진행하는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최신 업데이트는 더 나은 게임 플레이 경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고전 게임 업데이트는 뭐라고 불리나요?
오래된 게임을 다시 만들어 선보일 때, 여러 표현이 사용될 수 있어요. 가장 흔한 건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리마스터(Remaster)예요. 이건 원작 게임의 핵심 내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래픽, 사운드, 편의 기능 등을 현대 기술에 맞춰 개선한 버전을 뜻해요. 고화질 해상도 지원이나 프레임율 향상, 약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등이 포함되죠.
두 번째는 리메이크(Remake)입니다. 이건 원작 게임의 스토나 컨셉만 빌려오고 게임 전체를 처음부터 새로 만드는 거예요. 엔진도 달라지고, 그래픽은 물론이고 게임플레이 방식이나 레벨 디자인까지 원작과 크게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요. 사실상 거의 새로운 게임이라고 볼 수도 있죠.
단순히 다른 플랫폼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옮기는 것을 이식(Port)이라고도 하고, 원작 게임을 플레이하는 활동 자체나 옛 게임 스타일로 새 게임을 만드는 문화를 통틀어 레트로게이밍(Retrogaming)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레트로게이밍은 옛 게임을 보존하고(아카이빙), 공유하며 즐기는 광범위한 팬덤 문화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구글 플레이 최신 버전은 뭐예요?
Google Play 스토어 최신 버전 정보에 따르면 45.6.19 버전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버전은 사용자 기기나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구글은 보안 강화와 새로운 기능 업데이트를 위해 지속적으로 버전을 배포하니 참고하세요.
Google Play 스토어는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앱과 게임을 다운로드하는 공식 플랫폼이며, 관련 정보는 play.google.co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가 없을 때 아이폰에서 배그 업데이트는 어떻게 하나요?
앱 스토어를 열어 업데이트 목록이 바로 보이지 않을 때, 수동으로 새로고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여러분이 ‘업데이트 없음’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핵심 과정입니다.
앱 스토어 앱을 실행하세요.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자신의 계정 프로필 사진 또는 아이콘을 탭합니다. 이 계정 정보 화면이 나타나면, 화면 중간 부분을 손가락으로 누른 채 아래로 ‘끌어내립니다’.
이 ‘끌어내리기’ 제스처는 보이는 화면만 스크롤하는 것이 아니라, 숨겨진 새로고침 기능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마치 웹 브라우저에서 페이지를 새로고침하듯, 앱 스토어 서버에서 최신 업데이트 목록을 다시 불러오도록 강제하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잠시 기다리면 화면 상단에 로딩 표시가 나타났다 사라지면서, 현재 계정 및 지역에 사용 가능한 최신 앱 업데이트 목록이 다시 로드됩니다. 이 목록에서 PUBG Mobile (또는 Battlegrounds Mobile)을 찾아 그 옆에 있는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거나, 다른 앱과 함께 ‘모두 업데이트’를 탭하면 됩니다.
만약 이 방법으로도 PUBG 업데이트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단순한 새로고침 문제 이상의 원인일 수 있습니다. 아이폰의 인터넷 연결 상태, 기기 저장 공간 부족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 간혹 앱 스토어에서 로그아웃했다가 다시 로그인하는 것이 캐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드물지만 게임 개발사 측에서 업데이트를 지역별 또는 순차적으로 배포하여 잠시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팀 게임 업데이트가 왜 안 돼요?
업데이트 안 되는 거? 바로 겜 뛰어야 하는데 제일 짜증나는 상황이지.
가장 흔한 건 네 시스템 문제야. 특히 저장 장치(SSD/HDD) 상태가 안 좋으면 파일이 깨지거나 쓰기 오류가 나. 겜 중에 튕기는 거랑 똑같은 이유일 수도 있지. RAM 문제도 가끔 그래.
소프트웨어 충돌도 빼놓을 수 없어. 운영체제 문제나 드라이버 구버전 때문에 생겨. 특히 네트워크 드라이버나 그래픽 드라이버는 항상 최신으로 유지해. 이게 겜 성능에도 직결되지만, Steam 자체나 업데이트 프로세스랑 꼬일 때가 많거든.
갑자기 정전되거나 전원 불안정하면 운 없게 파일 날아가거나 Steam 설치 자체가 깨질 수도 있어. 드물지만 치명적이지.
그리고 네트워크 문제! 패치 파일 다운로드 자체가 안 되면 말짱 꽝이지. 불안정한 인터넷 연결도 문제고, 방화벽이나 백신 프로그램이 Steam 통신이나 겜 파일을 악성코드로 오인해서 막아버리는 경우도 허다해. 네 보안 설정도 확인해야 해.
Steam 자체의 문제일 때도 있어. Steam 캐시가 꼬이거나 설치 파일 자체가 손상됐을 때. 이럴 땐 Steam 다운로드 캐시를 지우거나 Steam 자체 파일의 무결성을 확인해보는 게 첫 단계야.
결국 Steam이 ‘파일 손상됐다, 다시 받아라’ 하는 메시지는 마지막 수단이고, 그 전에 네 PC 하드웨어 상태, 드라이버, 네트워크, 보안 프로그램 설정까지 전부 점검하는 게 훨씬 효율적이야. 겜 터지기 전에 시스템 관리하는 거랑 같은 맥락이지.
세계 1위 게임은 뭐예요?
“№1 게임”의 정의는 다양한 기준(판매량, 활성 플레이어 수, 시청 시간, 이스포츠 규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판매량”을 기준으로 할 경우 압도적인 1위 게임은 명확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판매된 비디오 게임은 마인크래프트(Minecraft)입니다.
2011년 Mojang에서 출시된 이 멀티플랫폼 샌드박스 게임은 2025년 10월 기준 3억 부 이상 판매되며 비디오 게임 역사상 최초로 3억 장 판매를 돌파한 게임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이스포츠 분석 관점에서 볼 때, 마인크래프트의 이러한 기록적인 판매량은 그 어떤 경쟁 게임과도 비교할 수 없는 광범위한 대중적 인기를 보여주지만, 이는 전통적인 이스포츠 성공과는 다른 차원의 성과입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나 카운터 스트라이크처럼 대규모 토너먼트와 프로 리그를 중심으로 하는 주류 이스포츠 타이틀과 달리, 마인크래프트는 캐주얼한 접근성, 무한한 창의성, 그리고 압도적인 스트리밍 및 콘텐츠 제작 파급력을 통해 게임 산업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스팀 없이 스팀 게임을 할 수 있나요?
이미 게임 파일이 있다면 해당 게임 폴더와 가장 중요한 appmanifest_*.acf 파일을 찾으세요.
게임 폴더는 스팀 설치 경로의 steamapps/common/ 안에 복사하고, appmanifest_*.acf 파일은 steamapps/ 폴더 바로 밑에 넣어주세요.
파일 이동이 끝났으면 스팀 클라이언트를 완전히 종료하고 다시 실행하세요.
스팀이 복사된 파일을 감지하고 전체 다운로드 대신 빛의 속도로 파일 검증(무결성 검사)을 진행합니다.
검증이 완료되면 바로 게임 실행 가능! 새로 포맷했거나 다른 PC에서 급하게 게임해야 할 때 다운로드 시간 수 시간을 아낄 수 있는 핵꿀팁입니다.
어떤 게임이 가장 오래 업데이트되었나요?
가장 오래 업데이트된 게임을 꼽으라면 단연 ‘언리얼 월드(UnReal World)’ 얘기가 나오죠.
이 게임이 1992년에 처음 세상에 나왔는데, 그때부터 지금까지 무려 30년이 훌쩍 넘도록 계속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개발되고 있어요.
2016년 시점에는 24년 업데이트라고 했지만, 지금은 훨씬 더 긴 역사를 쓰고 있는 거죠. 거의 인디 게임 개발자의 열정으로 이뤄낸 기적 같은 기간이에요.
게임 자체도 보통 게임이 아닌 게, 극사실적인 생존 시뮬레이션 RPG거든요. 핀란드 철기 시대를 배경으로 해서 살아남는 게 진짜 빡세요.
시스템이 엄청 깊고 복잡한데, 그걸 수십 년간 계속 다듬고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된 거죠. 단순한 옛날 게임이 아니라 계속 진화하는 살아있는 게임 같아요.
구글 플레이는 무엇으로 대체되었나요?
오케이, 구글 플레이 말고 다른 앱 스토어를 찾는다고? 문제없지! 네 기기나 지역에 따라 쓸 수 있는 대안들이 분명 있어. 여기 몇 가지 주요 스토어들을 봐봐!
- 화웨이 앱갤러리 (Huawei AppGallery): 화웨이 기기 쓰는 사람들이라면 필수! 여기 독점 앱이나 게임 혜택 같은 거 종종 풀리니까 잘 봐두면 좋아.
- 샤오미 GetApps (Xiaomi GetApps): 샤오미 폰 유저라면 이미 익숙할 거야. 샤오미 기기에 딱 맞춰진 느낌? 깔끔하게 잘 돌아가.
- 삼성 갤럭시 스토어 (Samsung Galaxy Store): 삼성 유저라면 이건 뭐 기본이지! 테마나 폰트, 갤럭시 전용 앱, 게임 쿠폰 같은 거 얻을 때 진짜 유용해. 엄청 커!
- 아마존 앱스토어 (Amazon Appstore): 아마존 생태계에 깊이 빠져 있다면 추천! 특히 킨들 파이어 같은 거 쓴다면 유용하고, 가끔 오늘의 무료 앱 같은 이벤트도 하니까 체크해봐.
- 루스토어 (RuStore) & 내쉬스토어 (NashStore): 자, 이건 중요해! 이 두 개는 특히 러시아 사용자들한테 엄청 의미 있어. 러시아 내에서 생긴 대안 스토어들인데, 다른 곳에서 찾기 힘든 현지 서비스나 은행 앱 같은 것들이 여기 많이 올라와 있거든. 그 지역에 있다면 진짜 필수템이라고 할 수 있지!
보이지? 네 상황에 맞는 다양한 선택지들이 있으니까 잘 골라서 써봐!
브롤스타즈 최신 버전이 뭐예요?
브롤스타즈 최신 버전!
현재 최신 버전은 61.319입니다.
출시일은 안드로이드 2025년 5월 21일, iOS는 2025년 5월 23일입니다.
이번 업데이트로 신규 브롤러 [발명가 브로키]가 추가되었고, 기존 브롤러들의 밸런스 조정과 새로운 게임 모드 [극한 생존]이 도입되었습니다!
장르는 여전히 짜릿한 MOBA, 영웅 슈터 장르입니다.
플레이는 안드로이드와 iOS 기기에서 가능합니다.
아이폰에서 펍지가 120 FPS를 지원하나요?
네, 최신 플래그십 아이폰(iOS) 및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120 FPS 모드가 지원됩니다. 이게 퍼포먼스 향상을 넘어 게임 체인저라고 봐야 해요.
왜 중요하냐면, 화면 움직임이 60 FPS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부드러워집니다. 특히 근거리 교전 상황이나 빠르게 움직이는 적을 추적할 때, 그리고 엄폐물 뒤에서 빠르게 피킹하고 다시 숨는 플레이(피킹 싸움)에서 압도적인 이점을 가져다줍니다. 미세한 에임 조절이나 반응 속도에서 큰 차이가 나죠.
설정에서 그래픽 옵션에 들어가면 ‘프레임 속도’ 항목에서 ‘120 FPS’를 선택할 수 있어요. 물론 기기가 이걸 지원해야만 해당 옵션이 보이고 활성화 가능합니다.
다만, 120 FPS는 기기 성능을 극한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가 엄청나고 발열이 심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요. 장시간 플레이하거나 중요한 경기 중에는 기기 온도 관리에 신경 써야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지원되는 플래그십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면, 경쟁전에서 상위권으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120 FPS는 이제 거의 필수적인 옵션이라고 생각하는 게 맞습니다.
스팀은 왜 게임 업데이트에 오래 걸리나요?
스팀에서 게임 업데이트가 유독 오래 걸리는 근본적인 이유는 새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속도 문제가 아니라, 이미 설치된 게임의 ‘파일 처리 방식‘과 ‘데이터 구조‘ 때문에 발생합니다.
게임은 하나의 실행 파일이 아니라 수많은 자원(에셋, 텍스처, 사운드, 코드 조각 등)이 복잡하게 엮인 거대한 덩어리입니다. 스팀은 업데이트 시 변경된 파일만 새로 받는 ‘델타 패치‘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 과정이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업데이트를 시작하면 스팀은 여러분 컴퓨터에 설치된 기존 게임 파일들을 일일이 읽고, 서버에 있는 새 파일과 비교해서 어느 부분이 바뀌었는지 찾아냅니다. 그리고 변경된 내용을 기존 파일에 수정하거나 덮어쓰는 작업을 진행하죠.
이때 문제는, 변경될 파일이 하나이더라도 스팀은 관련 있는 데이터 블록을 찾기 위해 전체 게임 설치 폴더를 샅샅이 ‘탐색‘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파일들이 디스크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거나(파일 조각화), 하나의 큰 압축 파일 안에 여러 데이터가 묶여 있는 경우 이 과정이 매우 비효율적이 됩니다.
하드 드라이브(HDD)의 경우 무작위 파일 읽기/쓰기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탐색 및 수정 과정이 엄청나게 오래 걸립니다. 심지어 SSD를 사용하더라도, 변경된 부분을 찾아 비교하고 재작성하는 ‘데이터 처리 및 재구성‘ 작업 자체에서 발생하는 CPU 부하와 디스크 쓰기 작업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결국 업데이트 용량이 작아 보이더라도, 스팀은 기존의 방대하고 복잡하게 얽힌 게임 파일 시스템을 건드려서 필요한 부분만 수정하고 재정렬해야 하므로, 이 ‘내부 처리 과정‘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설치 폴더가 더 비대해지거나 복잡해지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입니다.
스팀 게임 업데이트를 어떻게 강제로 할 수 있나요?
여러분의 게임 컬렉션, 즉 라이브러리로 향하세요.
거기서 마땅히 새로운 전설을 이어갈 준비가 된 게임을 찾으세요. 만약 새로운 패치나 콘텐츠 업데이트가 기다리고 있다면, 게임 이름 옆에 아래 화살표 모양의 아이콘이 뜰 겁니다.
그 게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해서 메뉴를 열고, ‘업데이트’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업데이트는 보통 버그를 고치고, 성능을 개선하며, 때로는 새로운 스토리 조각이나 즐길 거리를 추가합니다. 최신 버전으로 플레이해야 진정한 게임 경험을 할 수 있죠.
참고로 스팀은 기본적으로 게임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만약 수동으로 해야 한다면 설정에서 자동 업데이트가 꺼져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아니면 게임 속성(Properties) 메뉴로 들어가서 ‘로컬 파일(Local Files)’ 탭을 확인해 보세요. ‘게임 파일 무결성 확인(Verify integrity of game files)’을 실행하면, 혹시 빠졌거나 구버전 파일이 있다면 스팀이 알아서 최신 버전으로 맞춰줄 때가 많습니다. 업데이트 강제 확인 같은 거죠.